2025 온누리상품권: 구매처, 구매방법, 사용처, 모바일앱 다운받기
2025년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온누리상품권! 전통시장부터 소상공인 가게까지 다양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의 모든 것을 정리해보았습니다. 구매처부터 할인 팁, 사용처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.
온누리상품권이란?
온누리상품권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발행하는 상품권으로, 전통시장, 상점가, 골목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입니다. 소비자는 평소에도 10%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이며, 지류형, 카드형, 모바일형 등으로 다양하게 제공됩니다.
온누리상품권은 단순히 전통시장에서만 사용 가능한 것이 아닙니다. 골목상권의 일부 매장과 온라인 마켓에서도 사용 가능하며, 특히 명절 시즌에는 할인율이 상향되어 더욱 매력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.
특별 할인: 최대 15% 할인
매년 설이나 추석 명절 기간에는 기존 10% 할인에서 15% 특별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. 올해는 1월 10일부터 2월 10일까지, 디지털(카드형·모바일형) 온누리상품권 충전 시 15% 할인이 적용됩니다.
할인 예시
- 10만 원 상품권 구매 시: 1만 5천 원 할인
- 최대 구매 한도인 200만 원 충전 시: 30만 원 할인
지류형 상품권은 기존처럼 5% 할인이 적용되며, 구매 한도가 축소된 점은 유의하세요. 하지만 적지 않은 금액을 구매할 경우 누적 할인 금액이 꽤 커지므로 명절 대목에 맞춰 활용하면 경제적입니다.
환급 및 추가 혜택
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구매 시 다양한 프로모션이 함께 진행됩니다. 일부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는 상품 가격 5% 할인 쿠폰과 함께, 결제액의 15%를 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도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13만 원어치 상품 구매 시 약 4만 원 상당의 혜택(구매 할인 + 환급)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또한, 오프라인 전통시장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 시 소득공제율 40%가 적용되고, 카드형 상품권은 신용카드 실적에도 포함됩니다.
온누리상품권 사용처
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뿐만 아니라 골목상권, 일부 프랜차이즈 가맹점,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사용 팁
- 지류형 상품권: 전통시장 및 일부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.
- 카드형 및 모바일형 상품권: QR코드 스캔으로 간편 결제.
- 온라인 쇼핑몰: 전통시장 전용 몰 및 통합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.
온누리상품권 홈페이지에서는 지역별 사용처를 검색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합니다. 지역, 시장명, 점포명까지 조회 가능하니, 직접 확인해보세요.
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
온누리상품권은 지류형, 카드형, 모바일형으로 나뉘며, 각각의 구매 방식이 다릅니다.
지류형
- 구매 장소: 지정된 은행 창구 및 지점
- 할인율: 약 5% 할인
- 구매 한도: 월 최대 50만 원
- 주의사항: 만 14세 미만 구매 불가
카드형
- 구매 방법: 전용 앱 설치 후 본인 명의 카드 등록 및 충전
- 할인율: 10~15% (명절 기간 한정)
- 보유 한도: 200만 원
- 특징: 소득공제 및 카드 실적 포함
모바일형
- 구매 방법: 온누리페이, 비플페이 등 모바일 앱에서 구매
- 할인율: 10~15%
- 특징: 언제 어디서나 간편 결제 가능
온누리상품권 결제는 간단합니다. 모바일 및 카드형 상품권의 경우, 미리 등록한 앱 또는 카드를 통해 잔액이 자동 차감됩니다.
안드로이드와 아이폰에서 온누리상품권 앱 다운로드
온누리상품권을 모바일로 간편하게 이용하려면 전용 앱을 다운로드하세요.
안드로이드
-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합니다.
- 검색창에 "온누리상품권" 또는 "온누리페이"를 입력합니다.
- 앱을 선택하고 "설치"를 누릅니다.
- 설치 후, 본인 인증과 카드 등록을 완료하면 사용 가능합니다.
아이폰
- 애플 앱스토어에 접속합니다.
- 검색창에 "온누리상품권" 또는 "온누리페이"를 입력합니다.
- 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를 완료합니다.
- 본인 인증을 완료한 뒤, 원하는 금액을 충전하고 사용하세요.
이 앱은 QR코드 결제를 지원하며, 온누리상품권의 다양한 사용처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.
온누리상품권 활용 꿀팁
- 다른 할인과 병행: 농할상품권, 지역화폐 등의 추가 할인을 함께 적용하면 체감 가격이 더욱 낮아집니다.
- 온라인 사용: 전통시장에 갈 시간이 없을 때,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구매 가능.
- 대량 구매 활용: 명절 선물이나 단체 구매 시 높은 할인율 적용.
- 소득공제: 오프라인 결제로 세금 혜택까지 챙기세요.
결론
온누리상품권은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며, 동시에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좋은 제도입니다. 구매 방법과 사용처를 잘 활용하면 지역 경제도 살리고, 본인도 알뜰한 쇼핑을 즐길 수 있습니다.
2025년에도 온누리상품권을 활용해 알찬 소비와 소소한 즐거움을 동시에 누려보세요!
'일상다반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설명절 고속버스 승차권 예매 일정 구매 환불 방법 알아보기 (0) | 2025.01.12 |
---|---|
2025 설 명절 SRT 기차표 승차권 예매 일정 환불방법 위약금 모바일앱 다운받기 (0) | 2025.01.12 |
2025년 자동차세 연납 제도 변경 내용, 할인 혜택, 신청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1.08 |
2025년, 고교학점제와 늘봄학교 전면 시행! 학부모와 학생이 알아야 할 핵심 변화 (0) | 2025.01.08 |
육아휴직 급여 인상과 새로운 변화! 2025년 적용 육아휴직 제도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1.07 |
댓글